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Tags
- 서울숲누룽지통닭구이
- 퇴사후공무원
- 돈암동맛집
- springboot
- ELK
- 영화추천
- react
- 성신여대편백집
- tomcat7
- gradle
- 국가직
- 성신여대맛집
- 한성대맛집
- npm
- 통영에어비앤비
- 꼴뚜기회
- 자바스크립트에러처리
- 스페인여행
- ubuntu자바설치
- 공무원
- 파이썬
- 방이편백육분삼십
- 방이편백육분삼십성신여대
- 통영
- 한남동맛집
- 통영여행
- JavaScript
- 통영예쁜카페
- 성북구맛집
- 뚝섬역맛집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린이의 기록
[ES6] 문자열과 이스케이프 본문
반응형
문자열 사용시 문자열의 리터럴에는 작은따옴표(')큰 따옴표("), 백틱(`)을 사용한다.
const a ='Sam looked up, and said "hello, old friend!", as Max walked in.'
const b ="Don't do that!"
*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든 따옴표를 사용하든 반드시 해당 리터럴에는 한가지만 있어야 한다.
예를들어
const c = "sam looked up and said "don't do that!" to Max."
와 같이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
"sam looked up and said "don't do that!" to Max."
"로 시작했으면 반드시 문자열이 끝날 때 "로 끝나야 하기 때문이다.
이때 이스케이프가 필요하다.
여기서 중간에 쓰인 "앞에 역슬래시(\)를 붙여서 문자열이 끝나지 않음을 나타낸다.
const c = "sam looked up and said \"don't do that!\" to Max."
"sam looked up and said \"don't do that!\" to Max."
역슬래시(\)도 마찬가지로 문자로 사용할때는 앞에 역슬래시(\)를 한번 더붙이면 됨.
const d = "In JavaScript, use \\ as an escape character in strings.";
참고로 어떠한 텍스트를 쓸때에는 문장에서 don't와 같이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니 큰 따옴표로 감싸주는것이 좋고,
HTML을 쓸때에는 작은따옴표로 감싸주는것을 추천한다.
const a = " const c = "sam looked up and said \"don't do that!\" to Max."
const b = '<html><head>hello</head></html>'
문자열을 변수 or 상수와 같이 사용하는 방법
ES6 전 : + 기호를 사용
let currentTemp = 20;
const message = "The current temperature is " + currentTemp ;
ES6 후 : 백틱과 ${} 기호 사용
let currentTemp = 20;
const message = 'The current temperature is ${currentTemp}`;
Reference : 러닝 자바스크립트 책 (이선 브라운 지음)
반응형
'javascript,HTML,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S6] 객체 (0) | 2019.06.14 |
---|---|
[ES6] 심볼 (0) | 2019.06.13 |
[ES6] Literal(리터럴), Variable(변수), Constant(상수) 데이터 타입 (0) | 2019.06.12 |
[jquery] 동적으로 select box selected option 주기 (1) | 2019.03.07 |
[javascript] getOutputStream() has already been called for this response (0) | 2019.02.2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