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ELK
- ubuntu자바설치
- 뚝섬역맛집
- 통영
- 돈암동맛집
- 꼴뚜기회
- 파이썬
- 성신여대맛집
- 퇴사후공무원
- 한남동맛집
- JavaScript
- 통영에어비앤비
- 방이편백육분삼십
- 성신여대편백집
- gradle
- 통영예쁜카페
- 국가직
- 영화추천
- npm
- 서울숲누룽지통닭구이
- tomcat7
- 방이편백육분삼십성신여대
- 자바스크립트에러처리
- 성북구맛집
- 한성대맛집
- 공무원
- 통영여행
- react
- 스페인여행
- springboot
- Today
- Total
코린이의 기록
[Python] 파이썬 변수와 표현식 본문
# 1. 정수
1 2 | i1 = 6 i2 = 8 | cs |
# 2. 실수
1 2 | i1 = 6 i2 = 8 | cs |
# 3. 복소수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| i5 = 6j i6 = 8j print(i1 + i2) print(i1 - i2) print(i1 * i2) print(i2 / i1) print(i2 // i1) print(i2 % i1) print(i3 + i4) print(i3 - i4) print(i3 * i4) print(i4 / i3) print(i4 // i3) print(i4 % i3) print(i5 + i6) print(i5 - i6) print(i5 * i6) print(i5 / i6) # 복소수는 사칙연산만 가능함 # print(i5 // i6) # print(i5 % i6) | cs |
# 4. 문자열
# 문자열은 한번 정의하면 바꿀 수 없다. (typeError)
1 2 3 4 5 | s1 = "abcdefghijklmnopqrstuvwxyz" print(s1[0]) print(s1[1]) print(s1[2]) | cs |
#제일 마지막 문자열을 가져옴
python에서는 마이너스 인덱스가 존재한다.
1 | print(s1[-1]) | cs |
#슬라이싱 : 특정 범위의 문자열을 가져온다.
1 2 3 4 5 | print(s1[0:10]) print(s1[:10]) print(s1[:]) print(s1[0:10:2]) print(s1[-5:-1]) | cs |
line 1: 0부터 9까지 문자열을 가져옴
line 2 : 0은 생략할 수 있다.
line 3 : 뒷부분을 생략하면 문자열 끝까지 가져온다.
line 4 : 한글자씩 건너 띄어서 문자열을 가져옴 (0부터 10까지 한글자씩 띄어서 문자열을 가져온다.)
line 5 : 거꾸로 가져온다. (뒤에서 첫번째부터 다섯번째 문자열을 가져온다.)
* 맨 끝의 문자열까지 가져오려면 0이 아니라 반드시 생략해야한다.
결과 화면
1 2 3 4 5 | abcdefghij abcdefghij abcdefghijklmnopqrstuvwxyz acegi vwxy | cs |
# 문자열을 바꾸고 싶으면 %s 를 붙인다.
(권장하지는 않는 방법 (?))
1 2 3 4 5 | s2 = "Hello apple %s" print(s2 % "development") print(s2 % "project") print(s2 % "changed string") print(s2 % "security team"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| Hello apple development Hello apple project Hello apple changed string Hello apple security team | cs |
# 두개 이상의 문자를 넣을때는 괄호를 넣어야 한다.
1 2 | s3= "%s apple %s" print(s3 % ("Hello", "development")) | cs |
결과 화면
1 | Hello apple development | cs |
# 중괄호를 넣는 방식으로 문자를 넣을때에는 .format이라는 메소드를 사용해서 문자를 넣는다.
(권장하는 방법)
1 2 | s4 = "{} apple" print(s4.format("Hello")) | cs |
결과 화면
1 | Hello apple | cs |
# 두개 이상의 중괄호일 때에는 매개변수를 추가해서 넣으면 됨
1 2 | s5 = "{} apple {}" print(s5.format("Hello", "Development")) | cs |
결과 화면
1 | Hello apple Development | cs |
# {}에는 0과 1가 생략되어 있다. ({0} alticast {1}) 순서는 바꿀 수 있다.
1 2 | s6 = "{1} apple {0}" print(s6.format("Development","Hello")) | cs |
# Escaping (인용 기호 이중으로 넣을 경우)
1 2 3 4 | s7 = "test" s8 = 'exxam' s9 = "It's " s10 = 'It"s ' | cs |
Python에서 문자열 기호는 ", 혹은 ' 가 사용된다.
"안에서는 '를, '안에서는 "기호 사용 가능하다.
하지만 인용 기호를 이중으로 넣을땐? \를 붙여서 사용한다.
1 2 | s11 = "Hello \"nice to meet you\"" print(s11); | cs |
# 코드에서 여러줄에 걸쳐서 입력할 경우는 뒤에 역슬래쉬를 넣으면 되는데, 실제적으로 출력되는 문자열은 한줄짜리임
1 2 3 4 5 | s12 = "Hello" \ "Python"\ "Programming" print(s12) | cs |
# 괄호를 넣으면 그냥 엔터를 쳐서 입력할 수 있음.
1 2 3 4 | s13 = ("Hello" "Python" "Programming") print(s13) | cs |
결과 화면
1 | HelloPythonProgramming | cs |
# 실제로 개행을 출력하려면 \n 을 사용하면 됨.
(참고 : window 에서는 \r\n을 사용함)
1 2 | s14 = "Hello\nPython\nProgramming " print(s14) | cs |
결과 화면
1 2 3 | Hello Python Programming | cs |
# 개행 문자(\n) 쓰지 않고 개행을 만드려면 " 기호 세개를 사용하면 알아서 개행으로 출력된다.
# capitalize
첫번째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준다.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capitalize()) | cs |
결과 화면
1 | Hello python | cs |
주의 : s16 문자열의 문자열이 대문자로 변경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로 출력만 해준다.
# center
출력 시 중간에 문자열을 출력한다.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center(60)) | cs |
line 60 60글자 사이에 문자열을 출력함
결과 화면
1 | hello Python | cs |
# 60글자 사이에 문자열을 출력하는데, 양 사이드에 * 문자열을 채운다.
1 | print(s16.center(60, '*')) | cs |
결과 화면
1 | ************************hello Python************************ | cs |
# count
문자열 상에 어떤 문자가 몇개 사용되었는지 갯수를 새줌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count('l')) | cs |
# startswith
첫번째 문자열이 해당 문자로 시작하는지 확인함 (true or false)
1 2 3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startswith('h')) print(s16.startswith('H'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True False | cs |
# find
문자열이 몇번째부터 시작되는지 찾아줌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find("Python")) | cs |
# 못찾으면 -1을 반환함.
# 범위로 찾기
0부터 7까지 문자열에서 찾는다.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find("Python", 0, 7)) | cs |
# r 을 붙이면 뒤에서부터 찾음
1 2 3 4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rfind("Python")) print(s16.rindex("Python")) print(s16.rfind("on")) | cs |
# index
index는 find와 같은 기능이긴 하나, 찾지 못하면 error를 반환한다.
1 2 3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index("python")) print(s16.index("Python")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5 |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 File "C:/Users/sy.yoon.CONIN/PycharmProjects/alticast_py/day1.py", line 2, in <module> print(s16.index("python")) ValueError: substring not found | cs |
# isdecimal
숫자인지 아닌지 판단.
1 2 | s16 = "hello Python" print(s16.isdecimal()) | cs |
# 참고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카로슈티 문자(?)로 숫자를 출력하고 싶을때 : \N{"[카로슈티문자]"}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i1 = 3 s2 = "\N{KHAROSHTHI DIGIT THREE}" print(s2) print(s2.isdigit()) print(s2.isdecimal()) s3 = "\N{WON SIGN}" print(s3) s3 = "\N{EURO SIGN}" print(s3) s3 = "\N{DOLLAR SIGN}" print(s3) s3 = "\u10A1C" print(s3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5 6 7 | 𐩂 True False ₩ € $ ႡC | cs |
line 1 : 카로슈티 문자로 3을 나타낸다.
line 4-6 : 특정 화폐단위를 출력할 수 있다.
# 알파벳 확인
1 2 3 4 5 | s4 = "hello" print(s4.isalnum()) s5 = "안녕하세요여러분" print("안녕하세요여러분:", s5.isalnum()) print("안녕하세요여러분:", s5.isalpha()) | cs |
모두 True 를 반환한다.
# islower, isupper
소/대문자로 구성되어있는지 확인
1 2 3 | s4 = "hello" print(s4.islower()) print(s4.isupper()) | cs |
# lower, upper
소/대문자로 출력
1 2 3 4 | s4 = "hello" print(s4.upper()) s6 = "HELLO" print(s6.lower()) | cs |
# isspace
공백인지 확인
1 2 | s7 = " " print(s7.isspace()) | cs |
# strip
공백 자르기
1 2 3 4 | s8 = " alpha" print(s8.strip()) print(s8.lstrip()) print(s8.rstrip()) | cs |
line 3, 4: l또는 r을 붙이면 왼쪽 또는 오른쪽 공백을 자른다.
결과 화면
1 2 3 | alpha alpha alpha | cs |
1 2 3 | s9 = " ******alpha********* " print("s9 : " , s9.lstrip()) print("s9 : " , s9.rstrip(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s9 : ******alpha********* s9 : ******alpha********* | cs |
# replace
문자열 바꾸기
1 2 3 4 | s9 = " ******alpha********* " print(s9.replace("alpha", "beta")) s10 = "***alpha***alpha***alpha" print(s10.replace("alpha", "beta", 2)) | cs |
line 4 : 두번째 인자까지만 바꾸고 싶을때
결과 화면
1 2 | ******beta********* ***beta***beta***alpha | cs |
# split
1 2 3 4 5 6 | s11 = "11100" print(s11.zfill(10)) print("{:*>10}".format(s11)) s12 = 1110000000000 print("{:#,}".format(s12)) | cs |
line 2 : 10자리 0으로 채운다.
line 3 : 10자리 *으로 채운다
line 6 : 화폐자리수 쉼표로 나누기
결과 화면
1 2 3 | 0000011100 *****11100 1,110,000,000,000 | cs |
# casefold
대소문자 구분 없애기
1 2 | s13 = "NumberAlpha" print(s13.casefold()) | cs |
# split
문자열 자르기
문자열을 split으로 자르게 되면 해당 그분자로 리스트가 됨
1 2 3 4 5 | a = ['a', 'b', 'c', 'd'] s1 = "a-b-c-d" a1 = s1.split("-") print(a1) print(a == a1) | cs |
결과 화면
1 2 | ['a', 'b', 'c', 'd'] True | cs |
# rsplit
오른쪽에서 split
1 2 3 4 | a = ['a', 'b', 'c', 'd'] s1 = "a-b-c-d" a1 = s1.rsplit("-", 2) print(a1) | cs |
결과 화면
1 | ['a-b', 'c', 'd'] | cs |
# join
문자열 붙이기
1 2 3 4 5 | a = ['a', 'b', 'c', 'd'] s1 = "a-b-c-d" a1 = s1.rsplit("-", 2) print(a1) print("-".join(a1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['a-b', 'c', 'd'] a-b-c-d | cs |
#5. 리스트
파이선에는 배열이 없다
배열은 길이 수정이 불가하지만 파이선의 리스트는 사이즈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유동성 있게 변동 가능하다.
1 2 3 4 5 6 7 | l1 = [] l1.append("a") l1.append("p") l1.append("p") l1.append("l") l1.append("e") print(l1) | cs |
결과 화면
1 | ['a', 'p', 'p', 'l', 'e'] | cs |
# insert
앞에다 문자를 넣고싶으면 insert를 쓰는데, 첫번째 파라미터를 0으로 주면 insert 할때마다 요소가 뒤로 밀린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| l1 = [] l1.append("a") l1.append("p") l1.append("p") l1.append("l") l1.append("e") print(l1) l1.insert(0, "o") l1.insert(0, "l") l1.insert(0, "l") l1.insert(0, "e") l1.insert(0, "h") print(l1) | cs |
결과 화면
1 | ['h', 'e', 'l', 'l', 'o', 'a', 'p', 'p', 'l', 'e'] | cs |
# pop
리스트의 요소 빼오기
1 2 3 4 5 6 7 8 9 10 | l1 = [] l1.append("a") l1.append("p") l1.append("p") l1.append("l") l1.append("e") l1[0] = 'Hello' print(l1) print(l1.pop()) print(l1) | cs |
결과 화면
1 2 3 | ['Hello', 'p', 'p', 'l', 'e'] e ['Hello', 'p', 'p', 'l'] | cs |
# N번째 요소를 빼옴
1 2 | print(l1.pop(2)) print(l1) | cs |
결과 화면
1 2 | p ['Hello', 'p', 'l'] | cs |
# copy
문자열 복사
1 2 3 4 5 6 7 8 9 10 | l1 = [] l1.append("a") l1.append("p") l1.append("p") l1.append("l") l1.append("e") l1[0] = 'Hello' print(l1) l2 = l1.copy() print(l2) | cs |
# 배열 요소[:]
copy 와 동일한 기능 ( 슬라이싱 개념)
1 2 3 4 5 6 7 8 9 10 11 12 | l1 = [] l1.append("a") l1.append("p") l1.append("p") l1.append("l") l1.append("e") l1[0] = 'Hello' print(l1) l2 = l1.copy() print(l2) l3 = l1[:] print(l3) | cs |
# index
list에 특정 요소가 몇번째 index 있는지 찾는다.
이때 찾으면 해당 문자열이 뒤에 있던 없던 찾고 끝낸다.
1 2 3 | l4 = ['alpha', 'alpha', 'beta'] print(l4[0]) print(l4.index("alpha"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alpha 0 | cs |
# remove
리스트에 있는 요소를 지울때
1 2 3 | l4 = ['alpha', 'alpha', 'beta'] l4.remove("alpha") print(l4) | cs |
# count
요소가 몇개 있는지 확인
1 2 | l4 = ['alpha', 'alpha', 'beta'] print(l4.count("alpha")) | cs |
# reverse
요소를 역순으로 바꿈
1 2 3 | l4 = ['alpha', 'alpha', 'beta'] l4.reverse() print(l4) | cs |
l5 = ['alpha', 'alpha', 'beta', 'po', 'ji', 'fffg']
l5.sort() # 역순 정렬 시 l5.sort(reverse=True)
print(l5)
l5.sort(reverse=True)
print(l5)
# 요소 합치기
1 2 3 | l6 = [1, 2, 3, 4] l7 = [5, 6, 7, 8] print(l6 + l7) | cs |
# 새로운 요소에 합쳐서 넣음
1 2 3 4 | l6 = [1, 2, 3, 4] l7 = [5, 6, 7, 8] l8 = l6 + l7 print(l8) | cs |
# extend
기존 요소에 합쳐서 넣음
1 2 3 4 | l6 = [1, 2, 3, 4] l7 = [5, 6, 7, 8] l6.extend(l7) print(l6) | cs |
# del
리스트 요소 지우기
1 2 3 4 5 | l9 = [1, 2, 3, 4] del l9[0] print(l9) del l9[0:2] print(l9) | cs |
line 2 : 1번째 요소를 지운다.
line 4 : 1번째부터 2번째 요소를 지운다.
# 요소 바꾸기
1 2 3 | l10 = [1, 2, 3, 4] l10[0] = "Hello Apple" print(l10) | cs |
결과 화면
1 | ['Hello Apple', 2, 3, 4] | cs |
첫번째 요소에 Hello Apple이라는 문자열 전체가 들어갔음.
H,e,l,l,o, A,p,p,l,e 각 문자열을 넣고싶을땐
1 2 3 | l10 = [1, 2, 3, 4] l10[: 1] = "Hello Apple" print(l10) | cs |
결과 화면
1 | ['H', 'e', 'l', 'l', 'o', ' ', 'A', 'p', 'p', 'l', 'e', 2, 3, 4] | cs |
문자열을 특정 요소와 각각 바꾸고 싶을 땐
1 2 3 | l10 = [1, 2, 3, 4] l10[2:] = ["Hello", "Apple"] print(l10) | cs |
결과 화면
1 | [1, 2, 'Hello', 'Apple'] | cs |
#특정 번째의 요소를 바꾸고 싶을때 (범위 지정)
1 2 3 | l11 = [1,2,3,4] l11[1:2] = [5,6,7,8] print(l11) | cs |
결과 화면
1 | [1, 5, 6, 7, 8, 3, 4] | cs |
# 6. 튜플 : 수정이 불가능한 리스트
리스트는 만들면 수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음, 튜플은 수정이 불가
튜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 : count, index
표현 방식
1 2 3 4 5 6 7 8 9 | t1 = (1, 2, 3, 4) t2 = 1, 2, 3, 4 t3 = (1,) t4 = 1, print(t1) print(t2) print(t3) print(t4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| (1, 2, 3, 4) (1, 2, 3, 4) (1,) (1,) | cs |
# 7. 사전
{'key' : 'value'} }key와 value값
# 사전적 의미를 리턴해줌
1 2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['abc']) | cs |
결과 화면
1 | alphabet | cs |
# key가 없으면 error 발생한다 (keyError)
1 2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['apple']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|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 File "C:/Users/sy.yoon.CONIN/PycharmProjects/alticast_py/day1.py", line 2, in <module> print(d1['apple']) KeyError: 'apple' | cs |
# get
error 발생하지 않고 key가 없어도 찾을 수 있는 방법
1 2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get("apple")) | cs |
결과 화면
1 | None | cs |
# 찾아서 없을때 출력 시키는 문구를 지정 가능하다.
1 2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get("abd", "default")) | cs |
결과 화면
1 | default | cs |
# 없는 key를 만들어줌
1 2 3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d1['apple'] = 'Computer Programming Network' print(d1.get("apple")) | cs |
# 있는 key 만들면 update 됨
1 2 3 4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get("banana")) d1['banana'] = "yellow" print(d1.get("banana"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fruit yellow | cs |
# key만, value만 가져올때
1 2 3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keys()) print(d1.values()) | cs |
# 둘다 가져올때
1 2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items()) | cs |
# pop
사전의 pop은 빼낼때 인자가 반드시 있어야 함.
1 2 3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print(d1.pop('abc')) print(d1.popitem(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alphabet ('banana', 'fruit') | cs |
# del
1 2 3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del d1['abc'] print(d1) | cs |
결과 화면
1 | {'banana': 'fruit'} | cs |
# 사전 합치기
1 2 3 4 5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# 사전 합치기 d2 = {'아무개' : 'SW개발'} d1.update(d2) print(d1) | cs |
결과 화면
1 | {'abc': 'alphabet', 'banana': 'fruit', '아무개': 'SW개발'} | cs |
# 숫자로 key 넣기
1 2 3 4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# 숫자로 key 넣기 d1[34] = 36 print(d1) | cs |
결과 화면
1 | {'abc': 'alphabet', 'banana': 'fruit', 34: 36} | cs |
# 튜플로 사전 요소 넣기
1 2 3 4 | d1 = {'abc' : 'alphabet', 'banana':'fruit'} # 튜플로 사전 요소 넣기 d1[(1, 2)] = (1, 2) print(d1) | cs |
결과 화면
1 | {'abc': 'alphabet', 'banana': 'fruit', (1, 2): (1, 2)} | cs |
# 8. 집합
7 사전처럼 중괄호를 쓰지만 ":"를 사용하지 않는다.
1 2 3 4 5 6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s3 = { 5, 6} print(s1) print(s2) print(s3) | cs |
# update
요소 추가
1 2 3 4 | s1 = {3, 4, 5, 6} print(s1) s1.update([10]) print(s1) | cs |
결과 화면
1 2 | {3, 4, 5, 6} {3, 4, 5, 6, 10} | cs |
# intersection
교집합
1 2 3 4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print(s1.intersection(s2)) # = (s1 & s2) print(s1 & s2) | cs |
결과 화면
1 2 | {3, 4} {3, 4} | cs |
# union
합칩합
1 2 3 4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print(s1.union(s2)) # = (s1 | s2) print(s1 | s2) | cs |
결과 화면
1 2 | {3, 4, 5, 6, 7, 8} {3, 4, 5, 6, 7, 8} | cs |
# 차집합
1 2 3 4 5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s3 = { 5, 6} print(s1.difference(s2)) # = (s1 - s2) print(s1 - s2) | cs |
결과 화면
1 2 | {5, 6} {5, 6} | cs |
# issubset
부분 집합
1 2 3 4 5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s3 = { 5, 6} print(s3.issubset(s1)) print(s3.issubset(s2)) | cs |
line 4: s3은 s1의 교집합인가?
line 5: s3은 s2의 교집합인가?
결과 화면
1 2 | True False | cs |
# issuperset
초집합
1 2 3 4 5 | s1 = {3, 4, 5, 6} s2 = { 3, 4, 7, 8} s3 = { 5, 6} print(s1.issuperset(s3)) print(s2.issuperset(s3)) | cs |
line 4 : s1은 s3의 초집합인가?
line 5 : s2는 s3의 초집합인가?
결과 화면
1 2 | True False | cs |
# 9. Bool
# 아래 변수의 타입을 메소드로 표현했다.
# 매개변수가 없기때문에 모두 거짓, false를 리턴한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| i1 = int() f1 = float() j1 = complex() s1 = str() l1 = list() t1 = tuple() d1 = dict() ss1 = set() b1 = bool() print(bool(i1)); print(bool(f1)); print(bool(j1)); print(bool(s1)); print(bool(l1)); print(bool(t1)); print(bool(d1)); print(bool(ss1)); print(bool(b1)); | cs |
# 10. Byte
# 문자열 인코딩
1 2 | a = "한글" .encode("utf-8") print(a) | cs |
# 다른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때 깨지지 않고 utf-8로 전달한다.
(참고 : utf-8 포맷이 생기기전에 한국어로 ecu-kr, cpu949, ksc5601, iso-2022-kr(국제표준)도 있었음.)
결과 화면
1 | b'\xed\x95\x9c\xea\xb8\x80' | cs |
b 가 의미하는 것 :Byte
1 2 3 4 5 6 7 8 9 10 11 | a = "한글" .encode("utf-8") b = "한글".encode("euc-kr") #c = "한글".encode("cpu949") d = "한글".encode("ksc5601") e = "한글".encode("iso-2022-kr") print(a) print(b) #print(c) print(d) print(e) | cs |
# encode 에서 인코딩한 방식과 동일하게 decode 해야한다.
# utf-8로 인코딩 했으면 utf-8로 디코딩 해야함
1 2 3 4 | a = "한글" .encode("utf-8") b = "한글".encode("euc-kr") print(a.decode('utf-8')) print(b.decode('euc-kr')) | cs |
# find
문자열 찾을때 byte로 찾아야함.
1 2 | a = "한글" .encode("utf-8") print(a.find(b"\xea")) | cs |
결과 화면
1 | 3 | cs |
# 한국어로 찾을때에는
# 11. 데이터 타입 연산
# in & not in
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
1 2 3 4 5 | s1 = "Hello World" # 있는지 확인 print("World" in s1) # 없는지 확인 print("world" not in s1) | cs |
# *
문자를 누적해서 출력시켜줌
1 2 3 | s1 = "*" print("*" * 60) print(60 * "*") | cs |
결과 화면
1 2 |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| cs |
# len
길이찾기 (문자열, 튜플, 사전, 집합, 리스트)
숫자에는 불가능
1 | print(len("dsjlkdjflksjlksdjlfsjdlfksjflksjf;lskflsakjflkjsldk")) | cs |
결과 화면
1 | 51 | cs |
# min & max
1 2 | print(min([4, 6, 7, 3, 1, 2])) print(max([4, 6, 7, 3, 1, 2])) | cs |
결과 화면
1 2 | 1 7 | cs |
# 사칙연산
참고 ptrhon에는 ++가 없음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a = 1 a += 1 print(a) a == 1 print(a) a *= 1 print(a) a /= 1 print(a) a /= 1 print(a) a %= 1 print(a) | cs |
결과 화면
1 2 3 4 5 6 | 2 2 2 2.0 2.0 0.0 | cs |
# 비교 연산자
1 2 3 4 5 | a = 3 b = 4 print(a < b) a = 4 print(a <= b) | cs |
결과 화면
1 2 | True True | cs |
# 리스트의 비교 연산
1 2 3 | a = [1, 2] b = [1, 2] print(a==b) | cs |
결과 화면
1 | True | cs |
# java에서는 a와 b의 메모리 주소로 비교하기 때문에 false를 리턴하지만,
# python에서는 리스트의 값을 비교하기 대문에 true를 리턴함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g [python] 파이썬 내장함수 (0) | 2018.09.13 |
---|---|
[Python] 파이썬 반복문 (0) | 2018.09.13 |
[Python] 파이썬 조건식 (0) | 2018.09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