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꼴뚜기회
- ubuntu자바설치
- 통영
- 공무원
- 자바스크립트에러처리
- react
- 성북구맛집
- springboot
- 뚝섬역맛집
- 스페인여행
- 한남동맛집
- 돈암동맛집
- gradle
- JavaScript
- 서울숲누룽지통닭구이
- 성신여대맛집
- 방이편백육분삼십성신여대
- 통영여행
- 통영에어비앤비
- 국가직
- 파이썬
- ELK
- 퇴사후공무원
- 성신여대편백집
- 방이편백육분삼십
- tomcat7
- npm
- 한성대맛집
- 통영예쁜카페
- 영화추천
- Today
- Total
목록c&c++ (10)
코린이의 기록
이번 포스팅은 인접 행렬과 visted을 통한 DFS Algorithm을 구현해본다. Keywords- Vertex = Edge : 정점, 꼭 (0,1,2,3,4,5,6,7)를 의미한다. - 인접 행렬 : 그래프 이론에서, 인접행렬 (Adjacency Matrix)은 그래프에서 어느 꼭짓점(Vertex)들이 어느 변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사각형 행렬이다. - Visited : 어느 꼭짓점을(Vertex)방문 했는가에 대한 여부, flag같은 개념 이것만 기억하자! - 방문된적이 없는 인접한 곳 중에서 가장 작은곳으로 이동한다. - 인접한 vertex가 모두 방문된적이 있는 vertex면 이전 vertex로 다시 되돌아간다. 시나리오 Start Vertex는 0 1. 0에 인접한 vertex 1..
Queue 자료구조는 처음 영화관에 들어간 사람이 가장 먼저 티켓을 받는것과 비유할 수 있다. 즉 Queue는 FIFO(First In First Out)구조이다. 위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Queue에 데이터를 집어넣는 것을 "EnQueue"라고 하고 Queue에서 데이터를 빼는 것을 "DeQueue"라고 한다. Key WordsEnQueue : Queue에 요소를 추가한다. DeQueue : Queue에 요소를 제거한다. IsEmpty : Queue가 비어있는지 확인한다. IsFull : Queue가 가득찼는지 확인한다. 참고 Peek : Queue에서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요소를 Get 한다. 동작 원리1. "Front"와 "Rear" 두개의 포인터는 각각 Queue의 처음과 마지막을 의미한다. 2..